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재테크9

제2의 건강보험 실손보험 분리? 2017년부터 바뀌는 보험제도는 벌써 2016년이 4일도 채 남지 않았습니다. 이번 년도는 정말 다사다난했던 한 해가 아니었나 싶은데요. 이제는 내년의 계획을 세우면서 올해를 정리해나가는 시기인 거 같습니다. 그와 동시에 각종 재테크와 자산관리 또한 꼼꼼히 해 나아가서 다음 년도의 자산계획도 세워야할 시기인데요. 2017년에는 실손보험 뿐 아니라 보험제도들 여러 개가 변경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 제2의 건강보험인 실손보험의 약관개정 내년 (2017년) 4월부터 실손보험이 패키지가 아니라 기본형+특약 이렇게 분리가 됩니다. 기존의 표준화되었던 것이 기본형과 도수체외충격파.증식치료(특약 1) 백옥주사.마늘주사 같은 비급여 주사(특약2), 비급여MRI(특약3) 이렇게 3가지로 분리가 된다고 합니다. 대신 특약의 환자부담비율은 기존에 20%.. 2016. 12. 28.
예금금리는 그대로,대출금리는 올라간다? 연말,연초에 넣어뒀던 예금이 만기인 분들 꽤나 있으신 걸로 압니다. 저도 얼마전에 삼년 짜리 예금이 만기여서 찾아왔는데요. 그러고 나서 다시 그 돈을 일년짜리 예금으로 넣으려고 봤더니 예금금리가 어마어마하게 낮아졌더군요. 오히려 작년보다도 더 낮아진 거 같습니다. 전반적인 시장 금리가 낮아지면서 은행들의 대출금리는 눈과 피부로 느낄 만큼 올라갔으나 예금금리는 제자리거나 아니면 정말 0.1%가량 오르는 정도인 거 같은데요. 은행들이 금융이나 전체 시장경제상황에 맞게 예금금리를 결정하나 대출금리같이 기준이 없는 지라 시장금리에 따라서 바로 움직이지는 못하고 있는 듯 합니다. 이러한 현상이 계속해서 되풀이되고 있음에 서민들은 더 이상 은행에 재테크를 해야 할 이유를 못 찾고 있는 것이죠. 이러한 예금금리의 끊.. 2016. 12. 27.
부동산재테크,버블해소 내년까지 이어져서 하락세로 돈을 불리는 수단으로 부동산을 구입하는 분들이 꽤나 늘어났습니다. 실제로 p2p대출이라는 것이 생기면서 거기에 투자를 하시는 분들도 많고 다양한 방식이 늘어나기도 하였는데요. 하지만 부동산재테크의 전망은 내년까지 그닥 좋아보이진 않습니다. 부동산 거품 해소가 내년까지 이어져서 하락세를 전망하고 있는데요. 올해까지만 해도 꾸준하게 호황을 누리고 있었으나 11월3일 부동산 관련 대책 발표 후에는 점점 내리막으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그동안 너무도 거품이 끼고 꼈던 것들이 내년까지 해소를 하기 위한 정책이 발표된 것인데 집을 구하는 사람에겐 좋으나 관련된 투자를 해왔던 사람들에게는 아주 좋은 소식만은 아닐 거 같네요. 그럼 왜 부동산재테크가 하락세인지에 대한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11월3일 부동산.. 2016. 12.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