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20대 재테크 방법, 가장 안정적인 수단은?

by 한국을넘어 2017. 1. 6.
반응형

 

 

 

 

 

 

 

이제 갓 회사생활을 시작하는 20대 새내기들은 설레이는 맘 반, 걱정 반일것입니다.

이때까지 부모님에게 용돈을 받은 분들 뿐 및 알바를 하셨던 분들도 완전한 사회 일원이 되어

내가 회사에서 일한 돈을 고스란히 내가 벌어 그걸 또 모아서 집을 사고,

결혼자금도 모으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으실 텐데요.

 

하지만 요즘 적금,예금금리 등이 2%대 또는 그 아래로 하락하면서 예전과 같은 방법으로 자산을

불려가는 건 맞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20대 재테크 방법도 요즘 시대에 맞게 변동되야 할 거 같은데요.

오늘은 가장 안정적이게 20대 초중반이 투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예금/적금은 월급의 50%이상은 필수로

 

 

 

 

 

 

 

20대 재테크 방법의 가장 기본은 통장을 쪼개는 것입니다.

월급통장과 생활비,비상금 통장을 각각 만들어놓아 자금관리를 하는 것입니다.

 

또한 월급의 50%이상은 필수적으로 정기적금에 투자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아무리 금리가 낫다고 하더라도 최소한 돈을 쓰지 않고 모아두면 나중에 목돈을 쓸 일이 생길 때

마음이 여유롭습니다.

각 은행사이트 및 금리비교사이트 등을 살펴보시면 적금 금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저축은행들이 보통은 금리비율이 높은 편인데 위험하지 않을까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을 거라고 예상되는데요.

 

저축은행도 보통은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되고 원금+이자를 5,000만원 이하까지는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생활비 통장,비상금 통장은 하루만 넣어도 이자가 생기는 CMA로 만들면 이자도 생기고 입출금도 자유로우니

하나쯤 만들어 두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2) 보험은 월급의 10~15%로 미래를 대비하기

 

 

 

 

 

 

20대 재테크 방법 중 하나는 보험가입니다.

보험이라고 하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시는 분들이 많으시나 보험들은 한살이라도 일찍 들어놓을 수록

혜택이 많습니다.

특히 의료실비보험이라고 부르는 실손보험은 소비자가 부담한 의료비를 보상해줍니다.

나이가 어리면 어릴수록 보험료가 저렴하기에 일찍 가입해야 손해가 적습니다.

 

여유가 있으면 암,심장,뇌졸증 질환 등 3대 질환에 보장하는 상품까지 가입하는 것이 좋으나 언제까지

보험료는 월급의 10~15%를 넘지 않도록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월급의 대부분을 너무 많이 보험료로 투자하면 부담스럽게 되고 결국엔 납입을 하지 못해 해지하거나

중지시키는 일이 종종 있기에 너무 무리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3) 카드 사용도 세금공제나 혜택 고려하여 만들기

 

 

 

 

 

20대 재테크 방법 중 하나는 어떤 공제나 혜택도 놓치지 말아야 한다는 점이죠.

회사를 다닐때는 연말정산이란 게 있기 때문에 소득공제에 대한 부분도 고려해야 합니다.

카드를 사용하고 소득공제를 받으려면 세전 연봉의 25%이상을 사용해야 해요.

 

만약 연봉이 2천이다고 하면 연에 카드를 500만원 이상 써야한다는 말인데요.

신용카드는 15%, 체크카드나 현금 영수증은 사용의 20%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20대 재테크를 통해 자산을 불리실 생각이라면 왠만해선 신용카드를 사용하기보단 체크카드사용을

추천해드립니다.

 

만약에 신용카드를 사용하실 경우에는 한도를 꼭 감당가능한 범위에서 적용해두시고 가맹이나 할인 비율이

큰 것을 선택하셔서 만드시길 바랍니다.

 

 

 

20대 재테크의 가장 기본적인 것만 전달드렸는데요.

20대 때는 기본을 철저하게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위험성있는 것보다 안정적인 것에 먼저 신경써서 자금을 만든 뒤 여유가 생길 때

변액성, 위험성 있는 부분에 투자하시는 것이 좋을 거 같습니다 ^^